본문 바로가기
지식

읍참마속의 뜻과 유래

by garni 2024. 3. 31.

읍참마속은 삼국지의 제갈량과 마속에서 유래한 말로, 제갈량이 자신이 아끼던 부하인 마속이 군법을 어기고 전투에서 대패를 하여 마속을 아끼지만 법과 공정함을 위해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처형을 한 것에서 유래를 하였습니다. 이는 정의를 위해 때로는 가장 힘든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읍참마속
읍참마속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유래

읍참마속은 삼국지의 사건에서 제갈량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유비는 임종 전 마속을 크게 써서는 안 되는 인물로 평가하며 제갈량에게 당부를 하였지만 당시의 촉나라의 사령관이었던 제갈량은 마속을 신임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마속은 제갈량의 1차 북벌에서 제갈량의 명령을 어기고 가정전투에서 대패를 하였습니다.

제갈량은 마속을 아꼈지만 명령을 어긴 마속을 군법을 위해 눈물을 흘리며 처형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개인적인 감정과 공적인 의무 사이에서 정의의 실현을 위해 때로는 가장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이는 우리의 일상의 선택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고민이 될 수 있으며, 정의와 애정, 도덕성과 효율성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선택들은 우리의 가치관을 반영하며, 결과는 개인과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자로는 泣 : 울 읍, 斬 : 벨 참, 馬 : 말 마, 謖 : 일어날 속 (울면서 마속을 베다)입니다.

 

읍참마속
읍참마속

 

읍참마속의 현대적 적용과 도덕적 딜레마

현대 사회에서 읍참마속은 개인의 감정과 공적인 책임 사이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것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기업의 윤리적 결정, 정부의 정책 집행, 개인의 도덕적 선택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 원칙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기업가나 친구 또는 가족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위를 발견했을 때, 이를 덮어주기보다는 공정하게 처리하는 것이 읍참마속의 원칙에 부합합니다. 하지만, 읍참마속의 원칙은 도덕적 딜레마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사랑과 정의, 개인적 감정과 공적 책임 사이에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하물며 제갈량 조차도 이를 힘들게 결정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읍참마속의 원칙을 적용하려면,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읍참마속은 공정과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신뢰와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이 공적인 책임을 우선시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때, 이는 사회 전체의 윤리적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리

읍참마속은 삼국지의 사건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오늘날 우리 사회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져다줍니다. 개인적 감정과 공적 의무 사이에서의 균형을 찾으려는 고민을 통해, 정의와 공정함의 실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줍니다.

현대 사회에서 읍참마속의 원칙은 기업 윤리, 정부 정책, 개인의 도덕적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읍참마속이 제시하는 도덕적 딜레마는 간단히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러한 딜레마를 직면할 때마다, 우리는 더욱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로 갈 수 있으며, 공정과 정의가 우리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